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코스피 코스닥의 차이

배찌배찌 2024. 6. 28. 14:17

목차



    반응형

     

    주식을 이제막 시작하려는 주린이분들을 위해 오늘은 주식의 가장 기본적인 용어인 코스피와 코스닥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고 코스피와 코스닥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코스피란?

     

    Korea Composite Stok Price Price Index의 약자로 우리나라 주가 동향을 대표하는 Index입니다.

    증권 거래소에 상장된 종목들의 주식 가격을 종합적으로 표시한 수치로 시장 전체의 주가 움직임을 이해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증권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의 변동폭을 기준과 비표 시점으로 구분하여 지표로 작성한 것으로 대기업들이 주로 포진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상위기업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 등이있습니다.

     

     

    코스피 사장 조건

     

     

    1. 설립 후 3년 이상 된 기업이 코스피 시장에 상장할 수 있습니다.

    2. 기업 규모가 자기자본 300억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3. 상장 주식이 100만 주 이상이 되어야합니다.

    4. 최근 매출액이 1,000억 원 이상 되어야 하는 기업이 상장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5. 3년 평균 매출이 700억 원 이상이어야 하는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 이해하기

     

    코스피 지수는 1980년 1월 4일이 기준이며, 당시 총 가치를 100이 정하였습니다. 따라서, 현재 코스피 지수가 2,600선이니 44년 전보다 대한민국 기업이 26배 성장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코스닥이란?

     

    전자거래 시스켐으로 운영되는 한국의 장외 주식거래 시장입니다. 코스피보다는 상대 적으로 진입하기 쉽기 때문에 중소, 벤처, 기업들이 많이 포진하고 있는 증권 시장으로 미국의 나스닥을 한국식으로 합성한 용어입니다.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소기업, 벤처기업들이 주로 상장되기 때문에 많은 수익을 가져다줄 수도 있지만, 반대로 거짓 정보로 주가조작의 대상이 되기 쉬우니 신중한 투자를 해야합니다.

     

    코스닥 상장조건

     

    1. 설립 후 0~3년 된 기업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수 있습니다.

    2. 기업 규모가 자기자본 30억 이상으로 코스피의 10%의 규모입니다.

    3. 소액주주 500명 이상입니다.

    4. 3년 평균 매출액이 50 ~ 100억 원 규모로 코스피 상장 조건과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 시가 총액이 90억원 이상이 되어야 하는 조건도 있습니다.

    진입장벽이 높지 않다보니 중소기업/벤처 기업들이 쉽게 상장해서 투자자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코스닥 지수 이해하기

     

    코스닥 지수는 1996년 7월 1일 증권업협회에 의하여 개설되었습니다. 따라서 해당일 기준으로 코스피와 동일한 방식으로 산출하였으나, 기본 지수는 100이 아닌 1,000입니다.

     

    코스피 코스닥 차이 

     

    투자의 관점에서 차이를 본다면 코스피는 매우 큰 매출규모와 안정성을 가진 기업들이 많이 때문에 안정성을 확보하기에 매우 좋습니다. 특히 장기적인 투자로 이어질 경우에 기업에 문제가 생기지 않고서는 매우 유리한 편입니다. 단 안정성이 높기에 드라마틱한 상승을 하는 경우는 크게 없습니다.

     

    코스닥의 종목들은 미래 가치에 대한 투자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호재 하나하나에 매우 큰 변동 폭을 보기도합니다. 공시 하나에도 100%이상 상승을 하는 경우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큰 변동폭으로 큰 이익을 취할 수도 있지만, 반대의 경우 큰 손실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투자폭으로는 유리하지만 안정성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주식 투자는 개인의 책임이 따릅니다. 타인의 조언 등을 참고하는 것은 좋지만 본인의 소중한 자산을 통해 하는 것이니 충분한 공부 및 종목에 대한 사전조사를 한 후 신중하게 판단하시는 것이 좋을거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