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5월은 개인종합소득세 신고 납부하는 달입니다.
2023년에 아래 소득이 있는경우에는 해당 소득을 합산하여 2024년 5월 31일까지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셔야합니다.
신고대상 소득
사업소득(부동산임대소득 포함) + 근로소득 + 연금소득 + 기타소득
기한내 신고.납부하지 않으시면 무신고가산세와 납부지연가산세를 추가로 부담하실 수 있습니다.
1. 사업소득
- 단순경비율 적용 대상 - 사업소득자의 사업소득금액은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사업소득금액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총수입금액 x 단순경비율) |
* 단순경비율 적용 대상 : 직전년도(22년) 연간 수입금액이 아래 기준금액 미만
도.소매업등 | 제조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 | 임대업, 서비스업 등 |
6천만원 | 3천6백만원 | 2천4백만원 |
- 인적용역 사업소득(3.3% 원천징수)이 있는 경우에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2. 근로소득
- 일반적으로 근로소득은 연말정산을 하므로 조합소득세 신고대상이 아닙니다.
- 다만,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입니다.
* 2군데 이상에서 근무하고 해당 근로소득을 합산하여 연말정산을 하지 않은 경우 -> 모든 근로소득을 합산하여 신고하여야 합니다.
* 근로소득 연말정산을 하였더라도 신고대상 다른 소득(사업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이 있는 경우 -> 근로소득과 다른 소득을 합산하여 신고하여야 합니다.
3. 연금소득
- 국민(공무원.군인.교직원)연금 등 연말정산을 한 공적연금은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이 아닙니다.
- 다만,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입니다.
* 공적연금소득과 신고대상 다른 소득(사업소득, 근로소득, 기타소득)이 함께 있는 경우 -> 공적연금과 다른 소득을 합산하여 신고하여햐 합니다.
* 사적연금은 합계액이 연간 1,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합산신고 또는 분리과세 신고를 선택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연금저축계좌 :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공제 등
퇴직연금계좌 : 확정기여형퇴직연금계좌(DC), 개인형퇴직연금계좌(IRP)등
4. 기타소득
-일시적인 강연료, 원고료 등 기타소득은 기타소득금액이 연간 3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신고대상입니다.
*예시 : 강연료의 연간 총지급액이 800만원인 경우 기타소득금액은 320만원
강연료 기타소득금액 = 총지급액 -(총지급액x필요경비율)=800만원-(800만원x60%)=320만원
- 계약금이 위약금.배상금으로 대체되는 기타소득(연간 소득금액300만원 미만)이 있는 경우 분리과세로 신고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