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4년 5월 20일부터 모든 의료 기관에서 건강보험을 적용 받으려는 사람은 신분증을 지참하여야 합니다.

    그동안 타인의 신분증을 양도하거나 도용하여 항정신성 약품을 처방받기도 하고 건강보험급여를 부정 수급하는 사례가 꾸준비 발생하고 있어 그것을 방지하고자 본인 확인 강화제도 법령이 개정되었습니다. 신분증을 깜박 하고 가셨을 경우를 대비해 편리하게 모바일 신분증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인확인이 가능한 수단

     

    1.(신분증) 건강보험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국가보훈등록증, 장애인등록증, 외국인등록증, 국내거고신고증, 영주증 등 (행정.공공기관이 발행한 증명서 또는 서류, 사진과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것에 한함)

    2. (전자서명인증서)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금융인증서(금융결제원), 디지털원패스(행정안정부), 간편인증(pass, 네이버 카카오 인증서 , 삼성페이, NH인증서 등)

    3. (본인확인 서비스) 통신사 및 신용카드사(NH농협카드 등), 은행(KB국민은행) 등 

    4. (전자신분증) 모바일 건강보험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확인서비스(PASS)등 

     

    * 신분증 사본(캡쳐, 사진 등) 각종 자격증은 전자신분증이 아니면 사용 불가

    본인확인 예외 대상

     

    1. 19세 미만 사람에게 요양급여를 실시하는 경우

    2. 해단 요양기관에서 본인 여부 및 그 자격을 확인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 진료

    3. 의사 등 처방전에 따라 약국 약제를 지급하는 경우

    4. 진료 의뢰 및 회송 받는 경우

    5.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 2조제 1호에 따른 응급환자

    6. 본인 여부 및 그 자격을 확인하기 곤란한 사유로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

     

    모바일 신분증 방급방법(정부24)

     

     

     

     

    핸드폰 앱에서 정부24어플 다운로드하기 (안드로이드 -> 플레이스토어, 아이폰 -> 앱스토어)

     

    모바일 신분증 발급을 위해 로그인을 먼저 해야합니다. 로그인버튼 누르기

     

     

     

     

     

     

     

    회원가입 후 아이디/비밀번호를 통해 로그인할 수 있고, 간편인증 / 공동인증서 / 금융인증서 등을 통해 로그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간편인증으로 진행해보았습니다.

     

     

    카카오톡으로 인증 -> 이름 -> 생년월일 -> 휴대폰 번호 작성 후 다음 누르기

     

     

     

     

     

    모두 동의하고 인증요청 

     

    카카오톡에서 알림이 오면 개인정보 동의하고 인증하기 누르기

     

     

     

     

     

    인증이 확인 후 

     

    정부24앱에서 스크롤을 내리면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클릭

     

     

     

     

    주민등록증 확인서비스를 등록하시겠냐는 메세지가 나오면 확인버튼을 눌러줍니다.

     

    모바일신분증은 반드시 본인인증을 해야 하는데요. 먼저 통신사를 선택한 후 전체 동의를 누르신후 pass or 문자(sms)로인증하기중 선택하여 인증하시면 됩니다.

    (제가 했을때는 pass로만 진행해야했습니다, 참고하세요)

     

     

     

    이름, 주민번호, 주민등록증 발급일자를 모두 입력후 확인버튼 눌러주세요.

     

    확인버튼을 눌러주세요!

     

     

    정부24앱에서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이 완료된 모습입니다.

     

    qr코드를 리더기에 스캔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란색 '상세정보 표시'를 누르시면 주소 등 상세정보도 확인 가능합니다!

    반응형